2014.08.07 머니투데이 김명룡 정부가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 분석업체도 질병 예방과 관련된 유전자검사를 독자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규제개선의 일환인데 이 방안이 현실화 될 경우 유전자분석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7일 국무총리실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은 '보건의료산업 규제개선 30개 주요과제'중 하나로 개인유전자 분석시장 활성화방안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 추진단은 해당 과제에 대해 부처 협의·조정 등을 거친 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개인유전자 분석시장 활성화방안의 핵심은 의사나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도 유전자 분석업체가 독자적으로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현재 유전자 검사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 의료기관만 질병의 예방·진단·치료와 관련된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고,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은 의료기관의 의뢰를 받아 질병 관련 검사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유전자검사를 하려면 병원에 꼭 가야한다. 유전자분석업체 마크로젠 (49,600원 상승3200 -6.1%) 관계자는 "과거 게놈(유전자 정보분석) 열풍이 불 때 유전자분석이 아이들의 아이큐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등 무분별하게 이뤄졌다"며 "유전자 검사에 대한 규정이 까다로워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규정 탓에 게놈의 비용이 싸지고 있지만 미국이나 선진국과 달리 유전자분석 산업의 발전이 더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유전자분석업체 관계자는 "개인 유전자분석 사업은 반드시 의료기관과 함께 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 구조가 복잡해 질 수밖에 없다"며 "의료기관이 수익의 상당부분을 가져가기 때문에 유전자분석업체가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해당 규제가 풀릴 경우 유전자분석업체들은 다양한 사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개인이 원할 경우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도 유전자 분석이 가능하다. 미국 구글의 자회사인 '23앤드미(23andme)'는 자신이 유방암에 걸릴 위험도가 있는 유전자 타입인지 아닌지를 인터넷을 통해 예측을 해볼 수 있다. 지난해 미국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87%된다는 것을 알고, 지난해 유방을 절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심을 끈 바 있다. 유전자분석 서비스는 새로운 산업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다. 1990년대에 1명의 유전자를 분석하는데 30억달러가 들었지만 지금은 1000달러 정도면 할 수 있다. 분석시간도 10년에서 하루로 줄었다. 개인유전자를 분석하면 질병을 예방하거나 맞춤형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같은 데이터를 활용,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해 낼 수 있다. IT(정보통신)과 융합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나와 산업적 파급효과도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올해 초 우리 정부가 8년간 약 5788억원을 투입, 유전체산업을 키우겠다고 나선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유전체분석업체들은 현행 법률에서는 산업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하소연해왔다. 세계 유전자 분석시장은 2012년 1800억달러를 넘어섰고 2014년에는 220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국내시장은 2012년 1127억원, 2014년에는 14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다만 규제가 개선되더라도 몇 가지 보완책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6,020원 상승30 -0.5%) 자문위원은 "게놈분석을 통한 유전자 정보는 개개인의 개인정보라는 원칙이 법적으로 보장될 필요가 있다"며 "이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유전체분석업체들이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문 링크>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80715434392964&outlink=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