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이 내 몸을 살린다
15.01.09 18:10
|
---|
"21세기 신 영양소" 아미노산 아미노산이란..? 단백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이다. 단백질은 인체 내 모든 세포 조직의 성장과 발달, 유지 및 보수에 필요한 기본물질로서 호르몬, 효소, 항체 및 신경전달 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산, 알칼리 평형을 유지시키고 DNA, RNA 구성성분의 전구체가 되며 열량 공급도 한다.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a-아미노산이며 이것이 서로 물분자를 잃어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한 것이 펩타이드와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가 먹는 음식중에 단백질은 소화되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야 소장에서 흡수된다.그 다음 각 세포로 가서 인체를 구성하고 움직이는 수천가지의 단백질로 만들어진다. 아미노산의 영향학적 분류 비필수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구별은 영양학적으로 엄격한데 비필수아미노산(히스티닌, 프로닌, 티로신, 아스파라긴산,알라닌,글리신,아르기닌,시스틴,글루타민산,세린)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있으며, 필수아미노산(트레오닌, 이소루신, 발린,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라이신,트립토판)은 식사 등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비필수아미노산은 수많은 인체대사반응에서 필수적이다. 실제로 모든 단백질의 합성에는 적절한 양의 비필수아미노산이 요구되고 있다. 글루타민산과 글리신은 소장이 중요한 에너지원이나, 티로신이나 시스틴과 같은 아미노산은 보통 체내에서 그 전구물질인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으로부터 적절한 양이 합성된다. 인체는 머리카락부터 뼈와 근육, 피와 살, 신경세포, 뇌세포, 수백종의 호르몬, 백혈구, 임파구, 효소, 항체,핵산까지 수백만종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한편 아미노산 펩타이드 결합은 Fe,Ca 등을 운반하여 신체의 여러가지 작용을 돕고 있으므로 아미노산을 균형있게 섭취하면 좋다. 아미노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글리신, 알라닌 아미노산 : 간기능 강화,콜레스테롤 혈당조절 세린, 시스틴 ; 인슐린 성장촉진, 혈당저하, 간기능강화 발린 : 두뇌활동, 정서안정 유지 아스파라긴산 : 숙취해소, 간장보호,고혈압강화 글루타민산 : 음식의 조미, 감미에 좋은 아미노산 트레오닌 : 어린이 성장발육, 질소대사 류신 : 헤모글로빈의 중요한 구성요소 티로신 : 신경전달물질, 노인성 치매의 치료성분,갑상선, 부신, 뇌하수체의 기능증진 아르기닌 : 활력을 부여하는 이 아미노산이 부족하면 성장장애와 불임의 원인이 된다., 결석의 여과, 노폐물의 무독화 이소루신 : 성장관련 아미노산 라이신 : 혈액은 라이신으로 배양되어 항체가 형성된다. 이 아미노산이 없으면 소화액의 분비와 부신기능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페닐알라닌 : 혈관의 보호,갑상선의 티록신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이 호르몬은 신경의 호르몬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정신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히스티닌 : 청각의 신경세포 메티오닌 : 간장과 신장의 세포 재생, 탈모방지 프로틴 : 신체영양 트립토판 : 영아의 적당한 발육, 성인의 질소대사의 평형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일본 동경 농공대 히라바야시 교수의 실험논문,중에서 발췌> 음식을 통해 단백질을 흡수하고 있지만 단백질은 우리몸에 들어가서 48시간 머물러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 되어 소장에서 흡수된다고 합니다. 우리몸을 구성하는 물질 중 70%로는 수분이며, 30%로 단백질이라 합니다. 30%에 해당하는 단백질은 우리몸의 구성성분인 만큼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